묘목에서 시작된 커피 마을의 변화, 카이펜(민물김)으로 이어진 여성들의 성장, 그리고 창업을 통한 청년들의 도전.
지난 한 해, 원더스 동지들의 응원으로 함께 만들어낸 변화의 순간들을 전합니다.
불과 몇 해 전만 해도, 라오스 북부의 산간 마을은 생계를 위해 숲을 태우는 화전 농업에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수확은 적었고, 커피는 몹시 낯선 작물이었죠. 하지만 농부들은 가능성에 기대어 도전했고, 마침내 수확의 기쁨을 맛볼 수 있었습니다. 원더스는 현재까지 약 11만 주의 커피 묘목을 심었고, 지난해 원더스 협력 마을인 목밧에 지역 최초의 커피 가공시설이 완공되며 큰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원더스는 커피 묘목과 영농 기자재를 지원하고, 약 800명의 농부에게 커피 재배·가공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해마다 커피 농업에 참여하는 농부들이 늘어나면서, 수확량 또한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특히 2024년 한 해,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커피 열매를 수확할 수 있었습니다.커피를 마셔본 적 없던 마을 리더들은 이제 능숙하게 숯불에 커피콩을 볶아 커피 한 잔의 낭만을 즐깁니다. 묘목을 심고 커피 체리를 수확하기까지 수년 간의 인고의 시절을 견디고 비로소 맛본 열매이니 그 열매가 얼마나 달았을까요. 처음에는 낯선 커피 농업을 두려워하고 망설였던 이웃들도 너도나도 농업에 뛰어들기 시작하며, 기존 대비 커피 묘목을 신청한 농부의 수가 2배 가까이 늘어 났습니다.개발협력 현장 활동에서 가장 강력한 변화의 징조는 자발적인 참여 의지라고 할 수 있는데, 라오스 북부 소수민족 마을에 퍼져나가는 이 향긋하고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 설레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원더스가 운영하는 라오스 사회적 기업 ‘아롬디’
농부들의 용기 있는 도전, 원더스의 진정성 있는 지원, 그리고 아롬디의 정성스러운 서비스가 어우러지며 점차 결실을 맺어갑니다.
아롬디의 성장은 단순한 ‘판매 증가’로만 설명하기엔 부족합니다.
매장에 진열된 커피와 카이펜, 흑생강 등에는 농부들과 함께 한 지난 시간과 원더스의 변함없는 지원의 손길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품질이 좋아야 경쟁력이 생기고, 그 경쟁력은 아롬디를 찾아주시는 고객의 신뢰로 이어집니다. 아롬디가 좋은 제품을 전하기 위해 힘썼다면, 원더스는 그 뿌리인 생산자 지원 사업을 더 탄탄히 다져왔습니다.
이 선순환의 흐름 속에서, 아롬디는 루앙프라방 공항과 호텔, 기념품 샵 등 B2B* 파트너들을 적극적으로 확장하며 더 많은 사람들이 아롬디의 제품을 만나고, 다시 농부와 생산자들의 삶이 풍성해 질 수 있도록 마음 다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2024년, 원더스는 온라인 뿐 아니라 대학교 캠페인, 거리 모금, 현장 부스 등 다양한 자리에서 사람들을 직접 만났습니다.
현장의 이야기를 어떻게 ‘제대로’ 전할지, 후원금이 어떤 방식으로 의미 있게 사용되는지, 고르고 고른 단어와 문장을 가지고, 한 사람 한 사람과 성실히 마주했습니다.
원더스의 모금은 단순한 기부 호소가 아니라,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한 대화이자 제안입니다.
작지만 진심 어린 만남이 쌓여, 언젠가 우리가 전하는 가치가 조용히, 그러나 분명히 열매 맺으리라 믿습니다.
앞으로도 원더스는 언제든, 어디서든, 가치를 묻고 나누기 위해 다시 여러분들 속으로 걸어가겠습니다.
2024년, 원더스는 온라인 뿐 아니라 대학교 캠페인, 거리 모금, 현장 부스 등 다양한 자리에서 사람들을 직접 만났습니다.
현장의 이야기를 어떻게 ‘제대로’ 전할지, 후원금이 어떤 방식으로 의미 있게 사용되는지, 고르고 고른 단어와 문장을 가지고, 한 사람 한 사람과 성실히 마주했습니다.
원더스의 모금은 단순한 기부 호소가 아니라,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한 대화이자 제안입니다.
작지만 진심 어린 만남이 쌓여, 언젠가 우리가 전하는 가치가 조용히, 그러나 분명히 열매 맺으리라 믿습니다.
앞으로도 원더스는 언제든, 어디서든, 가치를 묻고 나누기 위해 다시 여러분들 속으로 걸어가겠습니다.
원더스는 빈곤보다 가능성에, 결핍보다 사람들의 경이로움에 주목합니다. 건강한 비영리 모금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기 위해서 원더스의 모금 원칙과 철학, 그리고 고군분투하고 있는 우리의 진솔한 도전기를 다양한 자리에서 공유했습니다.
· 거리 모금 6회 진행
· 대학교 교내 캠페인 전개(이화여대, 건국대)
· 나눔가게 제안 방문 357곳
· 국무조정실 주관 '개발협력주간' 부스 참여· KOICA DAK '네트워킹 데이' 참석 및 부스 참여· KRX 'ESG 마켓' 부스 참여
· 네이버 해피빈· 카카오 같이가치· SNS를 통한 실시간 현장 콘텐츠
· 거리 모금 6회 진행
· 대학교 교내 캠페인 전개(이화여대, 건국대)
· 나눔가게 제안 방문 357곳
· 국무조정실 주관 '개발협력주간' 부스 참여· KOICA DAK '네트워킹 데이' 참석 및 부스 참여· KRX 'ESG 마켓' 부스 참여
· 네이버 해피빈· 카카오 같이가치· SNS를 통한 실시간 현장 콘텐츠
· 이화여대 로타랙트· 건국대 UNSA
· 357곳 방문 및 연락
· 국무조정실 · 외교부 · 기획재정부 주관· 원더스 부스 방문자 수 약 620명
· 네이버 해피빈 2회· 카카오 같이가치 1회
NGO 활동가들이 후원하는 NGO, 원더스.
누구보다 이 분야의 ‘속사정’을 잘 아는 현직·전직 개발협력 관계자들이 원더스를 선택했습니다.
왜 그들은 후원자로서 원더스를 믿고 함께하게 되었을까요?
개발협력 현장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이들이 원더스를 선택한 이유를 물어보았습니다.
양소영 후원자함께하는 사랑밭 사업운영본부 본부장
박자연 후원자사단법인 호이 대표
오혜정 후원자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양소영 후원자함께하는 사랑밭 사업운영본부 본부장
김다령 후원자아이코닉스 / PL (前 WWF 근무)
최수아 후원자하트하트재단 / 국제사업본부 매니저
김고운 후원자대방중학교 전문상담교사 (前 굿네이버스 근무)
오혜정 후원자총신대학교 /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양소영 후원자함께하는 사랑밭 사업운영본부 본부장
매월 일정한
금액을 후원
원하는 때, 원하는 금액
만큼 자유롭게 후원
사회공헌, ESG 활동의
일환으로 후원
매월 가게 수익의
일부를 후원
매월 일정한 금액을 후원
원하는 때, 원하는 금액만큼
자유롭게 후원
사회공헌, ESG 활동의
일환으로 후원
매월 가게 수익의
일부를 후원
E: wonders@wonders.or.kr
T: 02) 337-0131
개발협력 분야의 다양한 인물을 초대해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는 개발협력 인식증진 콘텐츠, 국제개발리얼라이브 시즌3가 오랜 휴지기 끝에 공개됐습니다.
원더스는 예산을 투명하고 책무성있게 사용하고,
후원해주신 기금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일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구분 | 세부내용 | 금액 (원) | 비율 |
---|---|---|---|
기부금 | 정기후원회비 및 기부금 등 | 184,425,128 | 21.29% |
보조금 | KOICA 등 정부 보조금 | 490,306,436 | 56.60% |
사업 수익 | 커피 판매 수익 및 용역 등 | 144,421,651 | 16.67% |
사업 외 수익 | 이자수익, 잡이익 등 | 40,283,953 | 4.65% |
이월금 | 2024년 고유목적사업 준비금 | 6,770,012 | 0.78% |
합계 | 886,207,180 | 100% |
구분 | 세부내용 | 금액 (원) | 비율 |
---|---|---|---|
해외사업비 | 해외 사업 수행 비용 | 684,334,791 | 79.00% |
국내사업비 | 커피 판매 및 용역 프로그램 운영 등 | 147,520,267 | 17.03% |
일반관리비 | 사무실 임차료 및 행정비 등 | 26,320,337 | 3.04% |
기타 | 세금과공과, 수수료 등 | 55,595 | 0.01% |
이월금 | 2025년 고유목적사업 준비금 | 7,976,150 | 0.92% |
합계 | 886,207,180 | 100% |